Spring21 [spring boot] springboot에서 다른 서버로 axios 요청 보내기 Spring Boot에서도 다른 서버로 Axios 요청을 보낼 수 있습니다. 이를 위해서는 RestTemplate 또는 WebClient를 사용하여 요청을 보내면 됩니다. RestTemplate는 Spring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HTTP 요청 및 응답을 다루는 간단한 API이며, WebClient는 Java 8에서 추가된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을 지원하는 비동기 HTTP 클라이언트입니다. 두 가지 방법 모두 사용 가능하지만, 최신의 추세에 따라 WebClient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. 아래는 WebClient를 사용하여 다른 서버로 Axios 요청을 보내는 예시입니다. import org.springframework.stereotype.Service; import org.springframework.. 2023. 3. 31. [Spring]API 작성하기 - DELETE API #.DELETE API - 앱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거쳐 데이터베이스 등의 저장소에 있는 리소스를 삭제할 때 사용 - 클라이언트로부터 리소스를 식별할 수 있는 값을 받아 데이터베이스나 캐시에 있는 리소스를 조회하고 삭제 - 컨트롤러를 통해 값을 받는 단계에서는 간단한 값을 받기 때문에 GET 메서드와 같이 URL에 값을 넣어 요청 받음 #.@PathVariable -URL에 포함된 값을 받아 로직을 처리 #.@RequestParam -쿼리스트링으로 값을 받을 때 사용 2023. 1. 15. [Spring]PUT API #.PUT API -앱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DB 같은 저장소에 존재하는 리소스 값을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 -POST 와 비교하면 요청을 받아 실제 DB에 반영하는 과정(서비스 로직)에서 차이가 있으나 컨트롤 클래스를 구현하는 부분은 거의 동일 #.RequestBody 활용 -POST와 마찬가지로 값을 HTTP Body에 담아 전달 #.ResponseEntity 활용 -스프링 프레임워크에는 HttpEntity라는 클래스 존재 -헤더와 바디로 구성된 HTTP요청과 응답을 구성하는 역할을 수행 -RequestEntity와 ResponseEntity는 HttpEntity를 상속받아 구현한 클래스 -ResponseEntity는 서버에서 들어온 요청에 대해 응답데이터를 구성해서 전달할 수 있게 해준다. -Re.. 2023. 1. 15. [Spring]API작성하기 - POST API #.POST API -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DB 등의 저장소에 리소스를 저장할 때 사용 -저장하고자 하는 리소스의 값을 HTTP바디(body)에 담아 서버에 전달 -> GET API에 비해 간단 #.@RequestMapping으로 구현 -GET API와 사용의 차이 없다. #.@RequestBody -POST 형식의 요청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리소스를 저장하는데 사용 -그러므로 클라이언트 요청 트래픽에 값이 포함돼 있다. = POST 요청에서는 리소스를 담기 위해 HTTP Body에 값을 넣어서 전송 -Body 영역에 작성되는 값은 일정한 형식을 가진다. -> 일반적으로 *JSON형식 *JSON 형식 : JavaScript Object Notation의 줄임말, 자바스크립트의 객체 문법을 따르는 문자 .. 2023. 1. 14. 이전 1 2 3 4 ··· 6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