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네트워크9

[네트워크]HTTP 상태 코드 : HTTP 를 사용할 때, 요청에 대한 응답의 결과는 HTTP 상태 코드를 통해 전달된다. : 요청에 대한 처리가 성공했는지, 실패했는지 등의 결과를 HTTP상태 코드를 통해 알려준다. 1XX(정보) : 서버가 요청을 받았으며, 서버에 연결된 클라이언트는 작업을 계속 진행하라는 의미 2XX(성공) : 요청이 성공적으로 수행됨 200 OK - 요청에 성공했으며,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반환 201 Created - 요청에 성공했으며, 그 결과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었다. 3xx(리다이렉션) : 요청 완료를 위해 추가 작업 조치가 필요하다. 4xx(클라이언트 오류) : 요청의 문법이 잘못되었거나, 요청을 처리할 수 없다. 400 bad request - 잘못된 문법으로 인해 서버가 요청을 이해할 수 없음 40.. 2023. 8. 10.
[네크워크]GET과 POST차이 :GET과 POST는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무엇인가를 요청할 때 사용한다. GET :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어떠한 리소스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서드 :요청하는 데이터가 HTTP Request Message의 Header 부분에 URL에 담겨서 전송된다. :URL 끝에 "?"를 붙이고 변수명1=값1&변수명2=값2...형식으로 파라미터를 작성하여 데이터를 전송 : 이러한 방식은 URL이라는 공간에 담겨가기 때문에 전송할 수 있는 크기가 제한적이고 보안이 필요한 데이터에 대해서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. POST :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리소스를 생성하거나 변경을 위해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메서드 : HTTP Request Message의 body 부분에 담겨 전송.. 2023. 8. 10.
[네트워크]HTTP HTTP :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: 브라우저와 서버가 통신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여러가지 프로토콜 중 하나 : 인터넷에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사이에 HTML문서(데이터)를 주고 받는 데 쓰이는 통신 프로토콜 : 일반적으로 전송 계층 프로토콜로 TCP를 사용,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로 IP를 사용한다. : TCP/IP에서는 IP 주소를 사용해서 통신할 컴퓨터를 결정, 포트 번호를 사용해서 해당 컴퓨터의 어떤 프로그램과 통신할 지 결정(기본적으로 80번 포트 사용) 1.동작 방식 클라이언트는 요청(Request)을 보내고, 서버는 요청에 대한 응답(Response)를 보냄으로써 통신 connect :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서버와 연결을 맺는다. 이 때 TCP를 이용하여 연.. 2023. 8. 10.
[네트워크]web browser,IP, proxy,port 웹 브라우저란? 동기적으로 (HTML + CSS), javascript언어를 해석하여 내용을 화면에 보여주는 응용 소프트웨어 웹 서버에 필요한 자원(웹 페이지)를 요청하면 서버는 응답하고 웹 브라우저는 이를 해석한 후 사용자에게 보여준다. Request -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게 웹 페이지를 달라고 하는 것 Response - 웹 브라우저가 요청했던 웹 페이지를 웹 브라우저에게 제공하는 것 보통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는 다른 컴퓨터에 위치한다. 웹 서버가 다른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있기 때문에,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연결하려면, 웹 서버가 실행 중인 컴퓨터의 주소를 알아야 하는데, 이 주소를 IP 주소라고 한다. 브라우저의 구조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영역 URL을 입력할 수 있.. 2023. 3. 30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