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100 [네트워크]HTTP 상태 코드 : HTTP 를 사용할 때, 요청에 대한 응답의 결과는 HTTP 상태 코드를 통해 전달된다. : 요청에 대한 처리가 성공했는지, 실패했는지 등의 결과를 HTTP상태 코드를 통해 알려준다. 1XX(정보) : 서버가 요청을 받았으며, 서버에 연결된 클라이언트는 작업을 계속 진행하라는 의미 2XX(성공) : 요청이 성공적으로 수행됨 200 OK - 요청에 성공했으며,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반환 201 Created - 요청에 성공했으며, 그 결과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었다. 3xx(리다이렉션) : 요청 완료를 위해 추가 작업 조치가 필요하다. 4xx(클라이언트 오류) : 요청의 문법이 잘못되었거나, 요청을 처리할 수 없다. 400 bad request - 잘못된 문법으로 인해 서버가 요청을 이해할 수 없음 40.. 2023. 8. 10. [네크워크]GET과 POST차이 :GET과 POST는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무엇인가를 요청할 때 사용한다. GET :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어떠한 리소스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서드 :요청하는 데이터가 HTTP Request Message의 Header 부분에 URL에 담겨서 전송된다. :URL 끝에 "?"를 붙이고 변수명1=값1&변수명2=값2...형식으로 파라미터를 작성하여 데이터를 전송 : 이러한 방식은 URL이라는 공간에 담겨가기 때문에 전송할 수 있는 크기가 제한적이고 보안이 필요한 데이터에 대해서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. POST :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리소스를 생성하거나 변경을 위해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메서드 : HTTP Request Message의 body 부분에 담겨 전송.. 2023. 8. 10. [네트워크]HTTP HTTP :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: 브라우저와 서버가 통신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여러가지 프로토콜 중 하나 : 인터넷에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사이에 HTML문서(데이터)를 주고 받는 데 쓰이는 통신 프로토콜 : 일반적으로 전송 계층 프로토콜로 TCP를 사용,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로 IP를 사용한다. : TCP/IP에서는 IP 주소를 사용해서 통신할 컴퓨터를 결정, 포트 번호를 사용해서 해당 컴퓨터의 어떤 프로그램과 통신할 지 결정(기본적으로 80번 포트 사용) 1.동작 방식 클라이언트는 요청(Request)을 보내고, 서버는 요청에 대한 응답(Response)를 보냄으로써 통신 connect :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서버와 연결을 맺는다. 이 때 TCP를 이용하여 연.. 2023. 8. 10. [JAVA]Scanner / BufferedReader 차이 Scanner 와 BufferedReader 클래스는 둘다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는 기능. 가장 큰 차이는 속도에 있다. 백준에서 입력 속도 비교글을 보면 평균적으로 BufferedReader 사용시에 0.6585, Scanner 사용시 4.8448초가 걸리는 차이가 있다. 데이터가 많아질 수록 성능의 차이가 발생 속도가 차이나는 이유 = Buffer의 사용 여부의 차이 Scanner의 경우 1KB 크기의 버퍼를 가지고 있어 입력이 바로 전달 BufferedReader는 8KB 크기의 버퍼를 가져 buffer에 입력들을 저장했다 한번에 전송하기 때문에 속도가 더 빠르다. 또한 Scanner 는 입력을 읽는 과정에서 내부에서 정규 표현식 적용, 입력값 분할, 파싱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느리다. 두 클래.. 2023. 8. 7. 이전 1 2 3 4 5 ··· 25 다음